본문 바로가기

해외취업

(6)
인도네시아의 최저임금은 얼마나 될까? (feat. 지역 간 임금격차) 얼마전 대한민국에서 최저임금 상승이라는 이슈가 한참 세간의 주목을 끌었던 적이 있었다. 정권이 교체되면서 단시간에 갑자기 많이 올라버린 최저임금으로 인해 장점도 있지만 숨어있는 단점의 단상도 드러나게된 계기였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그리고 한 국가의 성장이 지속될 수록 물가는 오르기 마련이고 이에 따라 최저임금 또한 오르는 것이 너무나도 당연한 경제적 순리이지만 그 시기와 정도를 잘 조절하여 급격한 변화로 인한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하는데 이번에 우리나라는 그 부분을 조금 놓치고 간과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대한민국의 최저임금은 국내 전 지역에 대한 통일된 임금수준이 기준이라면 인도네시아의 최저임금은 주마다, 도시마다 그 수준이 매우 다르다. 각 섬마다 임금이 다르고, 그 섬 안에서의 주마..
인도네시아 비자(KITAS) 받는 법 (feat. 두번째 이야기) 인도네시아 비자(KITAS) 받는 법 두번째 이야기! 이전 포스팅에서 집에서 스스로 진행 해야하는 비자 프로세스에 대해서 소개했다면 두번째 포스팅은 은행결제와 기다림, 대사관 방문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용들이다. 이번 단계 전까지가 손가락만 있으면 되는 프로세스였다면 이제부터는 발로 뛰는 일만 남았다. 1. 관련 이메일 확인 이전 포스팅까지(대사관 시스템에 정보 입력)가 마무리 되었다면 기존 기본정보에 적었었던 이메일 주소로 아래와 같은 이메일이 발송된다. 비자신청이 완료되었다는 이메일로 내가 대사관에 전달해야 할 건 다 전달한거다. 물론 업로드한 사진이나 서류에 문제가 있으면 다시 연락이 오겠지만 첫번째에 포스팅한 걸 잘만 따라왔다면 그럴 일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보통 대사관에서 확인하는데에는 영업일..
인도네시아 비자(KITAS) 받는 법 (feat. 첫번째 이야기) 어느 나라던지 그 나라에 경제활동을 하러 가려면 '워킹비자'라고 불리는 비자가 필수적이다. 대부분의 여행은(특히 우리나라 여권은)비자 없이 거의 모든 나라에 방문이 가능하지만 그 기간보다 일정기간 더 체류하거나, 혹은 해당 국가에서 경제활동을 하려면 비자는 없어서는 안된다. 특히 인도네시아라는 나라는 이민국(Immigrasi)이라 불리는 이 관광서가 정말 열일하는 나라 중 하나다. 일을 하다보면 수시로 찾아와서 외국인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비자를 일일히 확인하는 경우가 굉장히 잦고 비자를 가지고 있지 않는 채로 일을 하는 게 적발되면 가차없이 벌금을 부과하거나 추방시킨다. 나는 인도네시아에 맨 처음에 왔을 때 모든 비자 프로세스가 회사에 의해 진행됐었다. 큰 회사이기도 했고, 그래서 그런지 내가 비자(K..
인도네시아 생활의 시작 (인도네시아 어학연수) 인도네시아에서 살면서 한국에 있는 친구들의 소식을 자주 듣는다. 사는게 어지간히 쉽지 않은가보다. 물가는 오르는데 월급은 그대로고, 내 몸 뉘일 수 있는 집은 숨만 쉬면서 10년 동안 벌어도 사기 힘들단다. 그렇다보니 자연스레 연애, 결혼, 육아와는 담을 쌓고들 살고 있다. 그런데 또 가만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의 작금의 현실이 비단 요즘들어서만 그렇게 나빠진 건 아니다. 밀레니얼 세대에게 우리나라의 현실은 무기 없이 뛰어든 전쟁터와 다름없다. 이럴 때마다 여기저기에서 해외취업과 해외생활에 대한 물음이 정말 많다. 운영하고 있는 네이버 블로그도 그렇고 개인적인 연락으로도 인도네시아에서 살기가 어떤지, 급여는 어떤지, 또 적응은 잘 할수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들이 정말 많다. 이런 질문들이 많다는 건 그만큼 한..
인도네시아의 제조업에 대하여 (feat. 해외취업) 동남아시에에서 취업 자리를 구하려다보면 가장 먼저 눈에 띄이는 게 바로 제조업이다. 물론 어느나라나 제조업이 근간이 되지 않는 나라는 없지만 노동집약적인 제조업은 특히 동남아시아에 많다. 당연히도 그럴 것이 값싼 노동력을 구하기 위해선 사장으로선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말고는 방법이 없다. 15년 전에 한국회사들이 값싼 노동력을 위해 중국과 중남미에 많이 진출했다면 지금은 대부분의 제조업은 동남아시아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같은 젊은 생산인구가 많은 나라에 대한 진출이 매우 활발하다. ​ 이러한 이유로 인도네시아에서는 크고 작은 제조업 공장들을 어렵지 않게 많은 곳에서 볼 수 있다. 바이어의 주문을 다이렉트로 받아 공정을 진행하는 대규모 OEM 업체부터 그 업체에 물건을 대는 하청업체들 ..
내가 인도네시아에 온 이유 내가 인도네시아에 온 가장 근원적인 이유를 한번 생각해봤다. 대체 나는 지인도 없고 연고도 없는 곳에서 왜 이렇게 살고 있는 것인가, 대체 무엇 때문에 인도네시아라는 나라를 선택한 것인가에 대해 정말 오랜만에 생각해봤다. 사람이 살다보면 최초에 떠올렸었던 그런 인생의 목적과 목표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머릿속에서 희석되고 빛이 바래 잊혀지기 마련인데 지금의 내 상황이 딱 그렇다. 그래서 1년 동안 차곡차곡 썼었던 블로그를 뒤져봤다. 그 당시의 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고 또 어떤 인생의 목적을 가지고 있었는지 다시금 확인해보고 싶었다. 글쓰기의 위대함은 다른데 있는 것이 아니다. 개인으로 하여금 회고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데 글쓰기의 위대함이 있다. 군 전역을 마치고 만 26세가 되던 해에 제2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