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취업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도네시아의 최저임금은 얼마나 될까? (feat. 지역 간 임금격차) 얼마전 대한민국에서 최저임금 상승이라는 이슈가 한참 세간의 주목을 끌었던 적이 있었다. 정권이 교체되면서 단시간에 갑자기 많이 올라버린 최저임금으로 인해 장점도 있지만 숨어있는 단점의 단상도 드러나게된 계기였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그리고 한 국가의 성장이 지속될 수록 물가는 오르기 마련이고 이에 따라 최저임금 또한 오르는 것이 너무나도 당연한 경제적 순리이지만 그 시기와 정도를 잘 조절하여 급격한 변화로 인한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하는데 이번에 우리나라는 그 부분을 조금 놓치고 간과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대한민국의 최저임금은 국내 전 지역에 대한 통일된 임금수준이 기준이라면 인도네시아의 최저임금은 주마다, 도시마다 그 수준이 매우 다르다. 각 섬마다 임금이 다르고, 그 섬 안에서의 주마.. 인도네시아 비자(KITAS) 받는 법 (feat. 두번째 이야기) 인도네시아 비자(KITAS) 받는 법 두번째 이야기! 이전 포스팅에서 집에서 스스로 진행 해야하는 비자 프로세스에 대해서 소개했다면 두번째 포스팅은 은행결제와 기다림, 대사관 방문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용들이다. 이번 단계 전까지가 손가락만 있으면 되는 프로세스였다면 이제부터는 발로 뛰는 일만 남았다. 1. 관련 이메일 확인 이전 포스팅까지(대사관 시스템에 정보 입력)가 마무리 되었다면 기존 기본정보에 적었었던 이메일 주소로 아래와 같은 이메일이 발송된다. 비자신청이 완료되었다는 이메일로 내가 대사관에 전달해야 할 건 다 전달한거다. 물론 업로드한 사진이나 서류에 문제가 있으면 다시 연락이 오겠지만 첫번째에 포스팅한 걸 잘만 따라왔다면 그럴 일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보통 대사관에서 확인하는데에는 영업일.. 인도네시아의 제조업에 대하여 (feat. 해외취업) 동남아시에에서 취업 자리를 구하려다보면 가장 먼저 눈에 띄이는 게 바로 제조업이다. 물론 어느나라나 제조업이 근간이 되지 않는 나라는 없지만 노동집약적인 제조업은 특히 동남아시아에 많다. 당연히도 그럴 것이 값싼 노동력을 구하기 위해선 사장으로선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말고는 방법이 없다. 15년 전에 한국회사들이 값싼 노동력을 위해 중국과 중남미에 많이 진출했다면 지금은 대부분의 제조업은 동남아시아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같은 젊은 생산인구가 많은 나라에 대한 진출이 매우 활발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도네시아에서는 크고 작은 제조업 공장들을 어렵지 않게 많은 곳에서 볼 수 있다. 바이어의 주문을 다이렉트로 받아 공정을 진행하는 대규모 OEM 업체부터 그 업체에 물건을 대는 하청업체들 .. 이전 1 다음